전체 글
-
[연금저축 총정리] why how where?투자 2021. 1. 2. 21:54
유튜브에서 가장 많은 조회수를 기록한 것도 가장 많은 질문이 있었던 것도 모두 연금저축 관련 영상이었다. 오늘은 연금저축 관련 Q&A 및 정리를 해보겠다. 일단 연금저축 대체 해야 되나? 말야야 되나? 고민하는 분들이 많은것 같은데 나는 무조건 하라고 권유하고 싶다. 알다시피 우리나라 노후 빈곤율과 노인 자살율은 압도적으로 세계 1위다. ㅠㅠ 안타깝다. 하지만 사실이다. 국가 입장에서는 국민들이 노후 준비를 안 해서 빈곤한 노인들이 증가하면 이게 다 부담이다. 결국 세금으로 이런 노인들을 다 케어해야 한다. 그래서 혜택을 주는거다. 너네 노후 알아서 좀 준비해라. 그러면 우리가 세금 혜택 줄께. 이게 바로 연금저축이다. ㅎㅎ 올해 초 재난 지원금과 비슷한 맥락이다. 재난 지원금 신청 안 해..
-
2020년 투자결산, 복기와 새해목표투자 2021. 1. 2. 21:53
시간이 정말 빠르다. 어느덧 2020년이 가고, 새해가 밝았다. 작년 한 해를 정리하며 2020년 자산배분 결산을 해 보겠다. 원래 한 달에 한 번씩 할까도 했는데 너무 번거로워서 분기에 한 번만 하기로 했다. ㅎㅎ 기업의 분기 실적 발표처럼 작년 11월 처음 자산배분 현황을 정리했을 때는 전체 자산에서 불과 20% 정도였던 주식비중이 어느덧 40% 가 되었다. ㅎㅎ 목표가 80% 니까 이제 딱 절반 채웠다. 1년 전과 비교하여 총 자산은 24% 늘어났다. 주식 자산만 비교하면 78% 가 늘어났다. 이건 수익율이 아니라 매달 추가 투자금액을 포함한 수치니 생각보다 수익율이 별로였다는 생각도 들지만 올해 3월 펜더믹 사태 이후로 주가가 폭락했다 오른거지 작년 말 기준으로는 이미 주가가 꽤 많이 오른..
-
새로운 세상의 주가 평가 feat 아마존투자 2020. 12. 22. 18:01
www.youtube.com/watch?v=tmlIJps3VOs 지금의 주가지수가 버블인가? 아닌가? 지금 주식에 투자하고 있는 사람이든 투자하지 못한 사람이든 가장 궁금한 내용일 것이다. 도대체 지금의 주가가 비싼지? 싼 지?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 간단하다. 다른 수치와 비교해보면 된다. 어떤 시험의 점수가 350점이 나왔다고 하자. 이게 대체 잘 본건지? 못 본건지? 알 수가 없다. 만점이 몇 점인지? 다름 사람들의 평균 점수가 몇 점인지? 이런 것과 비교하면 아~ 잘 본건지 못 본건지 감을 잡을 수 있다. 주가도 마찬가지다. 단지 삼성전자 주가가 주당 7만원이라는 것 하나로는 대체 주가가 비싼건지 싼건지 알 수가 없다. 삼성전자의 시가총액과 순이익, 성장율 가지고 있는 자산 등 ..
-
자율주행 AI 반도체 칩 시장의 패권투자 2020. 12. 14. 16:41
www.youtube.com/watch?v=EMaJeDXNda0 과거 반도체의 수요를 폭증시킨 3번의 혁명이 있었다고 한다. 첫 번째는 PC 데스크탑 혁명. 개개인이 컴퓨터를 하나씩 갖게 되면서 엄청나게 많은 반도체가 필요하게 되었다. 두 번째는 잡스가 일으킨 스마트폰의 혁명. 개개인이 저마다 스마트폰을 갖게 되면서 또 엄청나게 많은 반도체가 필요해졌다. 세 번째는 클라우드 서버 혁명이다. 4G통신과 넷플릭스, 유튜브와 같은 플랫폼의 성장으로 클라우드 서버에 엄청나게 많은 반도체가 필요해졌다. 사실 클라우드 서버라는 세 번째 혁명도 아직 시작도 안했다고 볼 수 있는데 여기에 네 번째, 4차 혁명이 바로 자동차에서 올 것 같다. 하지만 막상 차량용 반도체의 점유율과 선두 기업들을 보면 뭔가 좀 ..
-
테슬라 vs 웨이모, 자율주행과 차량용 OS 시장의 패권투자 2020. 12. 8. 19:20
www.youtube.com/watch?v=s_si08t2oHs&t=488s 솔직히 말하자면 테슬라는 앨런 머스크라는 인물의 팬덤에 힘입은 가치 대비 너무 고평가 된 기업이라는 오판에 ㅠㅠ 과거 투자를 하지 못했었다. 하지만 지금의 테슬라는 정말 대단한 기업이라는 걸 인정하지 않을 수가 없다. 사업 모델 하나하나가 놀랍다. 테슬라의 가치는 시장이 주가로 설명하고 있다 (다소 오버밸류라는 논란은 있지만;;) 나는 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도 꽤 많이 투자 했는데 물론 구글은 유튜브와 클라우드, 전 세계 검색시장 독점 등 여러 투자 매력이 있는 기업이지만 3~4년 전 처음 구글에 투자했을 때는 자회사 웨이모의 자율주행에 대한 기대감도 빼 놓을 수 없었다. 그 때 웨이모의 엄청난 기술력 앞에 테슬라의 ..
-
중국 반도체 굴기 몰락? feat SMIC투자 2020. 12. 3. 16:17
연일 중국 반도체 굴기가 망했다는 자극적인 뉴스들이 넘쳐난다. (대중들이 이런 뉴스를 좋아하나보다) 하지만 이럴 때일수록 중국 반도체 산업이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 정확히 판단 하는게 중요하다고 본다. 중국의 가장 큰 아킬레스건은 무엇일까? 스마트폰, 웨어어블, 노트북, 서버, 전기차, 가전 등 4차산업과 관련된 디지털 기기를 정말 잘 만드는 중국이지만 이 모든 디지털 기기에 들어가는 핵심 부품인 반도체만은 스스로 만들지 못한다. 중국은 전 세계 반도체의 60% 를 소비하는 반도체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국가인데 스스로 만드는 자급율은 작년 기준 불과 15% 수준이다. 이마저도 삼성이나 하이닉스 등 외자기업의 공급을 제외한 순수 중국 기업의 생산은 6% 수준이다. 실제로 작년 전체 글로벌 반..
-
종부세 폭탄? 왜 부동산은 보유세를 내야할까?투자 2020. 12. 1. 12:42
www.youtube.com/watch?v=UW5WU-zUs88 연일 종부세 관련으로 세상이 참 시끄럽다. 나는 종부세와는 전혀 관련이 없는 사람이라 ㅎㅎ 그저 남의 일 같았는데 워낙 뉴스에서 종부세 폭탄이다? 주변 사람들도 부동산 세금 관련 말들이 많길래 한번 파 보았다. 종부세는 종합부동산세로 보유세의 일부다. 그저 부동산을 보유하기만 해도 매 년 세금을 내야한다. 이상하다. 주식은 보유세가 없는데 왜 부동산은 당장 수익이 없어도 보유세를 계속 내야할까? 흔히 보유세의 의미에 대해 세 가지 정도를 이야기 하는데 1) 토지의 이용가치 상승과 2) 공적 편의시설에 대한 댓가 그리고 3) 자원의 효율성 예를 들어 어느 황량한 지역에 정부가 세금으로 도로를 깔고, 학교와 지하철, 터미널, 공원 등..
-
자본주의, 소비, 쓰레기.. 중국 폐기물 처리 기업 비교투자 2020. 11. 26. 22:27
www.youtube.com/watch?v=OKz-Updqg1c&t=676s 작년 초 필리핀에서 우리나라 기업이 방치한 쓰레기를 다시 가져가라고 이슈가 되었다. 폐기물에 가까운 쓰레기를 재활용이라 속이고 불법 수출했다 생긴 일.. 사진만 봐도 너무 끔짹해보인다. 저게 재활용이 되나? 대체 왜 이런일이 생겼나 봤더니 원래 전 세계 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중국이 받아주고 있었는데 중국도 쓰레기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어 "이제 못 받겠다해, 너네가 처리해라해" 결국 갈곳을 찾지 못한 쓰레기들이 동남아쪽으로 향하고 있는 것. 작년 이 뉴스를 본 당시 회사 대표가 아프리카 어느 국가의 국무총리와 친하다면서 ㅎㅎ 저 쓰레기를 아프리카로 수출하는 사업을 해보자고 했다. 거긴 워낙 낙후되고 전기도 부족한 곳이라..